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73AC2385924E26B26)
첫번째로 불꽃 이펙트를 한곳에 모을 빈공간을 만들고 이펙트를 구현하게 해주는 파티클 시스템을 만든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456533A5924E31633)
뭔 동글동글한게 날아다님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4215D465924E4041F)
우선 [Renderer] → [Material] 의 오른쪽 끝에 있는 동그라미를 눌러 준비해논 택스쳐를 입힌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512953E5924E45303)
모양이 바뀐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14F74435924E4872F)
그 다음은 [Main] 에서 [Start Lifetime], [Start Speed], [Start Size], [Start Rotation], [Gravity Modifier]의 수치를 바꾼다
[Start Lifetime] - 파티클이 살아있는 시간
[Start Speed] - 파티클의 시작 이동속도
[Start Size] - 파티클의 시작 크기
[Start Rotation] - 파타클의 초기 각도
[Gravity Modifier] - 중력효과(0은 무중력, 음수는 역중력)
이름 | 설정 | 값 |
[Start Lifetime] | [Random Between Two Constants] | 0.5 | 1.2 |
[Start Speed] | [Random Between Two Constants] | 0.5 | 1 |
[Start Size] | [Random Between Two Constants] | 0.5 | 1 |
[Start Rotation] | [Random Between Two Constants] | 0 | 360 |
[Gravity Modifier] | - | -0.2 |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22C3B455924E64733)
파티클의 시작시 모양이 조절됨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2309425924E68839)
[Emission] 값을 40정도 설정함
(1초에 방출하는 파티클 설정, 40은 1초에 40개를 방출하는것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65D44455924E6BE32)
파티클 개수가 조절됨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4CFF405924E74223)
[Shape]의 [Radius] 값을 0.15로 조절
(방출범위 설정해주는것, 작을수록 작은 범위에서 방출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12A693D5924E75103)
파티클 범위가 조절됨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646403D5924E89C14)
[Rotation over Lifetime]의 [Angular Velocity]를 [Random Between Two Constants] 설정으로 바꿔 -45 . 45
(임의 범위만큼 회전하게 됨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22F143B5924EA0B12)
무작위로 회전하게 됨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10C313C5924EA2B0C)
[Transform]으로 가서 [Rotation]을 270 , 0 , 0으로
(파티클의 방향조절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398E3A5924EA4412)
파티클 방향이 조절됨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A622375B0CB14C35)
[Color over Lifetime]로 가서 하얀 부분을 누르면 [Gradient Editor]가 나온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BFE8395B0CB20507)
[Color]부분을 누르면 창이 하나더 나오는데 여기서 색을 지정해준다
중심 막대의 아래쪽을 누르면 새로운 포인트가 추가되는데 같은 방법으로 색을 추가해준다
(그래이디언트를 잘 만들수록 더 사실적인 이펙트가 만들어짐)
번호 | R | G | B | [Location] |
01 | 255 | 246 | 178 | 0 |
02 | 255 | 237 | 96 | 10.3 |
03 | 255 | 125 | 54 | 19.1 |
04 | 255 | 0 | 0 | 100 |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15E43A5B0CB22032)
같은 방법으로 Alpha값을 지정해준다
(파티클이 투명한 상태에서 페이드인하면서 생성됨)
번호 | Alpha | Location |
01 | 0 | 0 |
02 | 255 | 8.5 |
03 | 255 | 16.5 |
04 | 255 | 100 |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6838365B0CB23B3E)
이제 누가봐도 불꽃이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F65F3B5B0CB25E28)
마무리로 [Size over Lifetime]에 가서 모듈을 클릭해서 [Particle System Curves]를 활성화시킨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E092355B0CB28E05)
아래와 같은 빈화면에서 모양을 선택한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F8403F5B0CB2A532)
한쪽 포인트를 잡고 적당히 내린후, 드래그해서 양쪽 포인트를 선택하고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0D55375B0CB2CB04)
우클릭 → [Both Tangents] → [Linear]를 눌러주면 선이 반듯해진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0C7B355B0CB2E004)
이렇게 설정하면 화염이 위로 오르면서 점점 커지게 된다.
(큰 차이는 없는 느낌?...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CF7F375B0CB30A29)
다른 방식으로 하면 다른 모양의 불꽃이 나온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5854405B0CB32001)
좀 멀리서 보이는 느낌?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F9C2395B0CB34D08)
다른방식2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4B41385B0CB3650B)
쓰잘데 없이 요란함.gif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A3764E5B0CB39401)
그림과 같이 새 파티클을 추가한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3A91435B0CB3BC2F)
추가한 파티클에서 [Renderer] → [Material]으로 택스쳐를 입히기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981B3D5B0CB3EB17)
아직까지는 크게 다르지 않음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5744355B0CB40F03)
아래와 같이 [Main] 에서 [Start Lifetime], [Start Speed], [Start Size], [Gravity Modifier]의 수치를 바꾼다
속성 이름 | 설정 | 값 |
[Start Lifetime] | [Random Between Two Constants] | 1 | 1.5 |
[Start Speed] | [Random Between Two Constants] | 0.5 | 1 |
[Start Size] | [Random Between Two Constants] | 0.2 | 0.3 |
[Gravity Modifier] | - | -0.2 |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08C7395B0CB46F0B)
좀더 작고 오밀조밀해져서 불똥의 느낌이 나기 시작함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E749415B0CB4B101)
[Emission]를 100으로 조정해 개수 증가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9DF3385B0CB4D30B)
어마어마 하게 많아짐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2005385B0CB4F414)
[Shape]의 [Angle]과 [Radius]를 조절해서 불꽃 안에서 방출되게 조절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8A5A405B0CB50833)
밖에서 나오면 것들이 사라짐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30883A5B0CB5420B)
불똥색을 불꽃색과 같게 하기 위해서 이전에 만든 불꽃의 [Color over Lifetime]로 가서 [Gradient Editor]을 켜고 [Presets]의 [New]를 누른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4AB1335B0CB55F0B)
다시 불똥으로가서 [Color over Lifetime]로 가서 [Gradient Editor]를 켜고 복사된 빈색에 불꽃의 색을 입힌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3C4A3C5B0CB57907)
색이 불꽃과 비슷해졌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57053F5B0CB5930D)
불똥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[Size over Lifetime]에 가서 모듈을 클릭해서 [Particle System Curves]로 간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D521365B0CB5A108)
그래프 모양을 아래와 같이 잡아준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CDA83E5B0CB5BB11)
불꽃 근처에서 사라지는 작은 불똥이 되었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5F853A5B0CB6260B)
새 파티클을 추가한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960C3D5B0CB6502F)
추가한 파티클에서 [Renderer] → [Material]으로 택스쳐를 입히기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405A4B5B0CB65F32)
불꽃 이펙트에 불똥 이펙트를 처음 입혔을때 처럼 됬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A727485B0CB6830C)
그 다음은 [Main] 에서 [Start Lifetime], [Start Speed], [Start Size], [Start Rotation], [Gravity Modifier]의 수치를 바꾸고
추가로 [Start Color]도 설정해준다
([Start Color]는 시작시 파티클의 색)
속성이름 | 설정 | 값 |
[Start Lifetime] | [Random Between Two Constants] | 1 | 1.2 |
[Start Speed] | [Random Between Two Constants] | 0.3 | 0.5 |
[Start Size] | [Random Between Two Constants] | 1 | 2 |
[Start Rotation] | [Random Between Two Constants] | 0 | 360 |
[Gravity Modifier] | - | -2 |
- | R | G | B | A |
[Start Color] | 255 | 255 | 255 | 128 |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29394F5B0CB69B40)
하얀 연기가 나는 느낌이 되었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5547455B0CB6B437)
[Emission]를 조정해 파티클 개수 조절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BE7D475B0CB6C441)
좀더 뿌옇게됨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AAA6465B0CB6E511)
[Shape]의 [Angle]과 [Radius]를 조절해 파티클 방출범위 조절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D88D505B0CB6F50E)
불꽃안에서 나오는데 불꽃이 잘 안보임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12474B5B0CB71208)
불꽃이 보이게하기 전에 우선 [Rotation over Lifetime]의
[Angular Velocity]를 [Random Between Two Constants] 설정으로 바꿔 -45 . 45로 조정해 줌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E04E485B0CB7290A)
연기 모양이 조금씩 변하게됨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586E505B0CB74908)
불똥에서 했던것처럼 [Presets]를 복사하고 아래 포인트의 마지막만 색을 조절해 준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DFF3495B0CB76214)
진짜 불에 타는거 같은 연기색이 되었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70964D5B0CB7890C)
연기가 점점 커지면서 사라지게 [Size over Lifetime]에 가서 모듈을 클릭해서 [Particle System Curves]로 간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FA35485B0CB7930A)
처음 불꽃 이펙트 만들었을때 처럼 선 모양을 잡아준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194C445B0CAAD00E)
마무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