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펙트를 한곳에 모을 빈공간을 만들고 이펙트를 구현해주는 파티클 시스템을 만든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213063A5926A1E81F)
그리고 [Renderer] → [Material] 의 오른쪽 끝에 있는 동그라미를 눌러 준비해논 택스쳐를 입히고
[Render Mode]가 [Stretched Billboard]인지 확인하고 [Length Scale]를 2로 맞춰준다
(파티클 이미지가 직사각형이됨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645C375926A20514)
물 이펙트때 보다 좀거 길어보인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156C1365926A21C1C)
[Main] 에서 [Start Lifetime], [Start Speed], [Start Size], [Gravity Modifier]의 수치를 바꾼다
속성 | 설정 | 값 |
[Start Lifetime] | [Random Between Two Constants] | 1 | 1.5 |
[Start Speed] | [Random Between Two Constants] | 2 | 3 |
[Start Size] | [Random Between Two Constants] | 1 | 1.5 |
[Gravity Modifier] | - | 1 |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42DC3C5926A25532)
[Emission] 값 200으로 늘려서 양을 늘려줌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4539A365926A42B1A)
폭포 느낌이 나기 시작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539A2375926A45D2E)
[Shape]의 [Angle]과 [Radius]를 조절해 파티클 방출범위를 좁게 조절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408933C5926A48712)
이펙트 범위가 작아짐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42EDA355926A4AF36)
색을 추가해주기 위해 [Color over Lifetime]를 조절한다
번호 | R | G | B | [Location] |
01 | 100 | 150 | 255 | 0 |
02 | 100 | 255 | 253 | 100 |
번호 | [Alpha] | [Location] |
01 | 0 | 0 |
02 | 255 | 30.6 |
03 | 100 | 100 |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555C5385926A4DC0C)
폭포 색이 되었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6F45345926A50833)
점점 커지면서 사라지게 [Size over Lifetime]에 가서 모듈을 클릭해서 [Particle System Curves]를 조절한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2587A365926A62512)
떨어지면서 커지다 사라짐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6784D375926A63F34)
테스트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1CEA485B0CC38232)
001에서 만든 물 이펙트에 파티클을 추가한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F9524D5B0CC38E02)
물 이펙트때 처럼 추가한 파티클에서 [Renderer] → [Material]으로 택스쳐를 입히고
가산표기 물체보다 뒤에 렌더링 할수 있도록 [Sorting Fudge]를 50정도 설정해준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CC4A4F5B0CC3A009)
길이만 다르지 물 이펙트때와 비슷하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BF994D5B0CC3C506)
그 다음은 [Main] 에서 [Start Lifetime], [Start Speed], [Start Size], [Start Rotation], [Gravity Modifier]의 수치를 바꾸고
추가로 [Start Color]도 설정해준다
속성이름 | 설정 | 값 |
[Start Lifetime] | [Random Between Two Constants] | 1 | 1.5 |
[Start Speed] | [Random Between Two Constants] | 2 | 3 |
[Start Size] | [Random Between Two Constants] | 4 | 5 |
[Start Rotation] | [Random Between Two Constants] | 0 | 360 |
[Gravity Modifier] | - | 1 |
| R | G | B | A |
[Start Color] | 255 | 255 | 255 | 100 |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240A4B5B0CC3DC07)
벌써 물안개 느낌이 나기 시작함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6DD5465B0CC40A08)
[Emission]를 조정해 파티클 개수 조절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08854E5B0CC41C34)
물안개가 더 많아짐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19D2425B0CC43935)
[Shape]의 [Angle]과 [Radius]를 조절해 파티클 방출범위 조절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BDE64D5B0CC45327)
물안개가 폭포 주변으로 모임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2DC7485B0CC47634)
[Color over Lifetime]로 가서 물안개 색을 넣어줌
번호 | R | G | B | [Location] |
01 | 200 | 200 | 255 | 0 |
02 | 150 | 200 | 253 | 100 |
번호 | [Alpha] | [Location] |
01 | 0 | 0 |
02 | 255 | 30.6 |
03 | 100 | 100 |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B573465B0CC48C05)
물안개의 색이 폭포색과 비슷해짐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E1E3495B0CC4B306)
점점 커지면서 사라지게 [Size over Lifetime]에 가서 모듈을 클릭해서 [Particle System Curves]를 조절한다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208933C5926A9A12C)
마무리